분류 전체보기94 WIL_at the end of project 얻은것 : - 깃과 깃허브에 익숙해지고, 다양한 기능들을 활용할 수 있게됨(이제는 커밋할 때 손을 떨지 않는다) - 리드미작성 - 자바와 스프링 기초 - 플라스크 할 때까지만해도 rest-api 어떻게 하고, 클라이언트랑 백이 서로 데이터 주고 받는것이 대체 어떻게 돌아가는지 머리에 그려지지 않았는데, 그런것을 이해할 수 있게 되었다. - MVC - 어노테이션의 개념과 느낌~~ 아쉬운것: - 뭔가 좀더 적극적으로 코드를 더 짰다면 좋겠지만, 뭔가 심리적으로도 체력적으로도 장벽과 버거움이 있었다. 그래도 깃의 산을 조금씩 극복해낸것보니, 언젠가는 이걸 또 바탕으로 무뎌지는 날들이 오지 않을까 잃은것 : 체력과 건강, 목 어깨 눈 등 2022. 8. 1. TIL 220729 리드미 작성하다가 리베이스 잘못한채로 푸시했더니 풀리퀘스트에 모든이의 커밋이 다 올라가버리는 아찔한 사고를 쳤다(마지막까지 사고를 친...) 손발이 덜덜떨렸지만 reset을 해보라는 예진님의 말을 듣고 검색해서 첫 리셋을 해보았다. 좀 해메다가 안되는걸까 했지만, 어찌하다보니 잘 해결했다 예진님이 이제 깃을 졸업하라고 하셨지만...그건 넘 멀었고 어쨌든 해결할 수 있어서 다행이었다. 한번 리셋 했더니 기존 메시지와 커밋이 순서대로 쌓였던게-> 메시지 다음으로 커밋만 줄줄이 오는것처럼 메시지와 커밋의 순서가 밀려버린것이 안타까웠지만 그래도 잘 복구한 것에 의의를 내배캠에서 확실히 획득한 한가지 스킬... 그것은 바로 리드미 작성 뭔가 코딩은 멀어져가고 리드미만 가까워지는것같긴하지만 뭐라도 남았으면 됐을지도.. 2022. 8. 1. 20220727 TIL git merge시 커밋메시지 작성 예진님의 숙원사업을 함께 달성했다 : Git 충돌나고 해결한 다음 머지될때는 자동으로 메시지가 들어가서, 그걸 해결하고 싶으셨는데 그거 해결하고 git commit -m으로 메시지 쓰면 되는 거였다. @Bean vs @Component @Bean @Bean 어노테이션은 method 레벨 어노테이션으로 개발자가 수정할 수 없는 3rd 라이브러리 객체를 IoC Container에 등록하고 싶을 때 사용한다. @Bean을 사용할 때는 @Configuration 어노테이션이 추가된 클래스 내부에서 생성 할 수 있다. @Component @Component는 개발자가 직접 작성한 클래스를 Bean으로 등록할 수 있는 방법이다. 아래 코드처럼 공통적으로 사용하고 싶은 클래스가 있.. 2022. 7. 28. 20220726 TIL 이번에 보안과 관련해서 피드백이 많이 들어왔다 찐으로 스크립트를 넣어주신 분들덕에 스리슬쩍 프롬프터처럼 지나갔던 XSS를 어떻게 막을지 봐야되게 생겼다 어제 a반 1팀에서 lucy-xss-filter에 대해 알려주셔서 이런게 있구나 하고 이름만 알게 됐었다. 보니까 2018년쯤 만든 프로젝트라서 호환성이 문제가 될 수 있겠구나 정도만 생각했다. 검색을 하다보니, 이 필터에는 한계점이 있어서 그걸 개선한 lucy-xss-servlet-filter 가 있는걸 발견해서 또 찾아보는데 일단 메이븐으로 되어있는 자료가 너무 많고(이 필터도 2년전쯤에 생긴거라..) gradle로 되어있는 자료를 따라해봐도 뭔가 안 되고 있었다 -> 그냥 하염없이 보기만 함... 이거에 더해서 json을 방지해야 된다는 글이 자꾸 .. 2022. 7. 26. 이전 1 2 3 4 5 6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