분류 전체보기94 20220804 TIL 강의를 아직 듣고 있는데... 강의를 듣다가 모르는부분이 나오면 헉, 하고 멈췄다가 한참을 돌아가면 강의에서 다루는 경우가 꽤 있다. 근데 또 아닌 경우도 있긴 해서... 이럴때는 어쩌면 좋을지 생각해야 할 듯 binary search 같은 경우, 애니메이션으로 보니까 좀 더 이해가 잘 되었다. 전에 이런거를 애니메이션으로 보여주는 서비스가 있었다고 한거같은데 한번 찾아봐야 할듯 2022. 8. 5. 20220803 TIL 코딩테스트 = 얼마나 깊이 고민할 수 있느냐를 평가하는 시험 강의가 확실히 쉽게 설명해주시는거 같긴한데 그래도 내가 많이 부족해서 아직은 많이 버겁다. 이것도 반복해서 보다보면 이해되는 날이 올지 궁금하다 2022. 8. 4. 20220802 TIL 시간복잡도라는 개념을 우리가 쓰는이유 ⇒ 시간과의 상관관계를 이해하고 싶어서 N이 40이면 40X40의 시간이 걸린다는걸 알고싶은거지, 1600이 알고싶은것이 아님 그래서 이걸 수식으로 표현해야 올바른 알고리즘의 시간복잡도 분석이 가능하다 빅오표기법 왜 쓸까? 알고리즘은 입력값의 분포에 따라서 성능이 변화할 수 있음 대부분의 입력값은 최선일 경우가 없음. 우리는 항상 최악의 경우를 대비해야 하기 때문에 모든 알고리즘을 빅오 표기법으로 분석하는 것 기억할것 입력값에 비례해서 얼마나 늘어날지 파악해보자 N? N제곱? 공간복잡도보다는 시간복잡도를 더 줄이자 최악의 경우에 시간이 얼마나 걸릴지 (빅오표기법)에 대해 고민하자 소수 구하는 함수가 있을줄알았는데, 에라스토스의 체를 통해 풀 수 있고, 이것도 좀 더 .. 2022. 8. 3. 20220801 TIL 알고리즘 주간의 시작 - 다른강의들보다는 확실히 쉽고 친절하게 설명해주는듯. 물론 아직 극초반이라 앞으로 두고봐야겠지ㅣ만 - 오랜만에 또 강의들으려니까 처음에 집중하기가 어려웠다. 놀랍게도 아직도 체력이 다 회복되지 않아서 조만간 수액맞으러 가야할지도 모르겠다. 컴퓨터는 이 6이라는게 가장 이 배열내에서 크다는 걸 확인하기 위해서 특정 로직을 세워줘야 됨 ⇒ 누가? 네가 ^__^ 아스키코드 변환 ord() 아스키숫자를 다시 문자로변환 chr() - 전에 아스키코드를 왜 쓰는지 싶었는데 왜쓰는지 조금은 알것같기도... 2022. 8. 1. 이전 1 2 3 4 5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