전체 글94 WIL 목요일날 시간을 보고 시간이 빨리 지나가있어서 깜짝 놀랐다. 프로젝트를 하면서...그래도 주체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다보니 작성을 하면서, 그리고 막히는거 튜터님들이랑 얘기하면서 같이 보면서 자바에서 이해가 안됬던 것들, 스프링에서 받아들이기 어려웠던 것들을 순차적으로 하나씩 이해해나가는 것 같아 뿌듯하다 다른 팀원의 역량에 비해서는 많이 부족하지만... 그래도 어제의 나보다 더 나아가는 느낌이 많이 들고 있다. 주말에 클린코드를 한 챕터 읽었는데, 스프링 코드를 작성하면서 왜 이렇게 해야하는지 모르겠던 것들에 관한 내용들, 튜터님이 설명은 해줬지만 잘은 받아들이지 못햇던 것들에 대해 조금 더 답을 얻어서 뿌듯했다 - 처음에 변수를 다 선언하고 시작한다던지, 클래스를 잘게 나누는것 등 - 코드 돌아간다고 다.. 2022. 7. 4. 220701 TIL ResponseDto 작성하기 요소들을 컨트롤러에서, 레포지토리로부터 가져오게 시키다가 -> 서비스에 로직 작성하고 불러오기 -> responseDto를 통해서 가져오는 식으로 코드 변경 Impl 적용 - impl 적용하니, 서비스에 어떤 기능이 있는지 눈에 더 잘보이는 듯 하다 Frontend - Crud만 되었던 것을 프론트에서 데이터 읽어오는 것까지 연동 완료 - frontend 작동 시키는 것도 작업했다. - jquery 토글 -> 전에 bulma 할 때 어렵게 했던 toggle이, 제이쿼리를 활용하니까 쉽게 가능해서 오히려 허탈했다 function toggle_items() { $("#content_detail").toggle(); } - id값에 변수 넣기 myid 값은 선언한 함수 내에 선언 2022. 7. 4. 20220630 TIL 1. @RestController == @Controller + @ResponseBody 2. 프론트연동 설정 안해놓으면 서버가 정상적으로 돌아가더라도 white label 창이 뜰 수 있음 3. MySQLNonTransientConnectionException: Too many connections 해결 상황 : MSA 환경이어서 서비스마다 DB커넥션을 유지하기 때문에 한명당 pool을 6~7개 이상 잡아먹어서 발생 다들 로컬에서 커넥션을 유지시켜놓고 해제하지 않아 커넥션이 많이 잡아먹히게 됨. 베타 DB는 성능이 좋은 서버를 쓰지 않았기 때문에 버티지 못하는 것 spring.datasource.hikari.minimum-idle=2 spring.datasource.hikari.validation-ti.. 2022. 6. 30. 20220629 TIL Entity : Entity Class는 실제 DataBase의 테이블과 1 : 1로 Mapping 되는 Class로, DB의 테이블내에 존재하는 컬럼만을 속성(필드)으로 가져야 한다. Entity Class는 상속을 받거나 구현체여서는 안되며, 테이블내에 존재하지 않는 컬럼을 가져서도 안된다. https://velog.io/@gillog/Entity-DTO-VO-%EB%B0%94%EB%A1%9C-%EC%95%8C%EA%B8%B0 DTO : DTO를 안 쓰고 테스트 하면 왜 쓰는지 이해하게 될것... => 쓸 때 안 쓸때의 차이를 깨달아 보자-> 계속 일일이 불러오는것이 더 어려울 것이라고함... 컨트롤러: - 기본적으로 요청을 어떻게 내보낼지를 정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자 서비스가 직접 데이터 가공하는 .. 2022. 6. 29. 이전 1 ··· 6 7 8 9 10 11 12 ··· 24 다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