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WIL

20220629 TIL

by Youngin 2022. 6. 29.

Entity : 

Entity Class 실제 DataBase의 테이블과 1 : 1로 Mapping 되는 Class로,
DB의 테이블내에 존재하는 컬럼만을 속성(필드)으로 가져야 한다.
Entity Class는 상속을 받거나 구현체여서는 안되며, 테이블내에 존재하지 않는 컬럼을 가져서도 안된다.

https://velog.io/@gillog/Entity-DTO-VO-%EB%B0%94%EB%A1%9C-%EC%95%8C%EA%B8%B0

 

DTO :

DTO를 안 쓰고 테스트 하면 왜 쓰는지 이해하게 될것... => 쓸 때 안 쓸때의 차이를 깨달아 보자-> 계속 일일이 불러오는것이 더 어려울 것이라고함...

 

컨트롤러:

- 기본적으로 요청을 어떻게 내보낼지를 정의하는 것이라고 생각하자 서비스가 직접 데이터 가공하는 역할. 컨트롤러는 그런 서비스를 호출- 다양한 코드파일에 안 나누고 컨트롤러에 모든 내용을 넣더라도, 작동은 한다. 다만 유지보수가 힘들어질뿐.. 코드가 복잡하고 길어지기 때문에

 

디버깅:

디버깅은 뭔가 실행이 되는 메서드, 클래스를 대상으로 실행하기

 

REST API 구성시 유의사항:

- 동사는 get/post/put/delete 요청으로 대신하고, 명사를 사용한다.

- 명사는 기본적으로 복수형을 사용. 단, 고유명사(identifier)인 것은 단수형가능

'TIL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701 TIL  (0) 2022.07.04
20220630 TIL  (0) 2022.06.30
TIL 20220627  (0) 2022.06.27
WIL 10th  (0) 2022.06.27
20220624 TIL  (0) 2022.06.2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