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WIL

20220722 TIL

by Youngin 2022. 7. 22.

Annotation

처음에는 무지성으로 따라해서 썼었지만, 시간이 갈수록 이 어노테이션이 무엇인지 알고 쓰는것,

이걸 이상황에 꼭 써야하는지를 알고 쓰는것의 중요성을 깨닫고 있다.

어제만 해도 @Data 어노테이션이  @Getter @Setter @RequiredArgsConstructor @ToString @EqualsAndHashCode. 어노테이션을 다 포괄하고 있다는 것, Setter를 지양하려고 Builder를 사용하는 상황 + 이러한 각각의 어노테이션들로 인해 내부적인 코드가 엄청 길어진다는 것을 배우고, 사용을 지양하기로 했다.

그 외에도 옵션을 여러가지로 주는 어노테이션들도 많아서, 자주쓰는 어노테이션 뿐 아니라 어노테이션을 사용할 때 용례나, 잘 사용하는 방법을 알고 쓰도록 노력이 필요할것같다.

 

https://velog.io/@gillog/Spring-Annotation-%EC%A0%95%EB%A6%AC#jpa-annotation

 

[Spring] Annotation 정리

Annotation(@)은 사전적 의미로는 주석이라는 뜻이다. 자바에서 사용될 때의 Annotation은 코드 사이에 주석처럼 쓰여서 특별한 의미,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는 기술이다.

velog.io

 

JPA

jpa를 계속 이해를 잘 못하고 있어서 답답한데 언제쯤 조금이라도 이해하기 시작 할 수 있을까~~

연관관계 매핑 매서드를 이해하고 싶다~~

 

Git에서 remote 브랜치 등록시 SSH 사용하는 방법

요즘 https 에서 주소를 가져와서 등록하는 경우가 많은데, SSH를 이용하는 방법이다!

https는 deprecated 되어가고 있어서 어쩌다가 문제가 생길수가 있다고 하는데, SSH는 그럴 염려가 없다고 함

1. ssh 키 생성 => ( $ ssh-keygen )

2. github 계정에 public key 등록

3. fork한 본인의 저장소를 "HTTPS가 아니라" "SSH로 clone"

4. clone 받은 프로젝트에서 brach 생성

5. 아무거나 (띄어쓰기 하나 추가 이런 것도 됨) 변경 사항 생성

6. origin 추가 (ssh로 클론받은 경로)

6번 다시. 원격 저장소 추가 (ssh로 클론받은 경로로)

7. 6번에서 추가한 원격저장소에 push

여기까지 성공했다면 이걸 시도해보자

1. git remote add <remote 이름> <깃허브에서 복사한 ssh 경로>

2. git push <remote 이름>

3다시. git push <remote 이름> <branch 이름>

 

 

'TIL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WIL  (1) 2022.07.25
TIL  (0) 2022.07.25
20220721 TIL  (1) 2022.07.21
20220720 TIL  (0) 2022.07.20
20220719 TIL  (0) 2022.07.1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