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pplication.property에 디버깅하면서 새로 적용한 것
spring.jpa.show-sql=true
logging.level.root=debug
- spring.jpa.show-sql=true 이건 sql문을 터미널에 출력해주는 것이었고,
- logging에 관한 것인 logging.level.root=debug를 새로 알게 됨.
로그 레벨은 총 6단계임을 알 수 있어요. TRACE, DEBUG, INFO, WARN, ERROR, FATAL.
출처: https://codingdog.tistory.com/entry/spring-boot-logginglevel로-일정-레벨-이상의-로그만-출력해-봅시다 [강아지의 코딩공부:티스토리]
autoincrement 번호 초기화하기
모든 데이터를 삭제한 상태에서 dbeaver의 auto-increment 값을 1로 변경하고 저장.
그리고 새로운 데이터를 저장하면 1부터 깔끔하게 나와서 편안했다~~~
튜터님과 함께 쿼리자체 타이핑을 참 오랫만에 했더니 생경해서, 조만간 한 번 sql도 살펴봐야하긴 하겠다.
JPA로 모든것을 할 수는 없을테니(특히 오늘같이 문제가 발생한 날에)
INSERT INTO support (POST_CONTENT, post_title, post_email, username)
VALUES ("AA","TT","DUD@NAVER.COM","ABC")
JPA로 데이터 길이 재설정
Entity 설정하는 코드에서, 데이터의 길이를 설정하는 코드가 적용이 안되었던 문제가 있었는데
해당 컬럼을 삭제하거나, 테이블 자체를 삭제하고, 서버 실행하면 그 때는 바뀌었다.
지금은 중요한 데이터가 없으니까 이런식으로 할 수 있었지만,
그게 아니고 이미 중요한 데이터들이 쌓여있는 경우에는 수동으로 변경하고 혹시 DB내에서 설정이 안바뀌는지 모니터링해야할 것 같다.
@Size(max = 320, message = "글자수 초과")
JPA에서 데이터 길이 설정할때 @Size VS @Column(length = num)
- @Size 를 사용할 경우 두가지 이득이 있음
먼저 @Column 의 예시와 같이 DDL statement 가 동일하게 varchar(50) 이 된다.
Hibernate 의 validation bean 이 persist, update 전에 자동으로 @Size 에 해당하는 값에 맞게 데이터가 할당되었는지 검증한다.
결론 :
둘이 하는짓은 결국 비슷하지만 @Size 의 경우 저장하기 전에 데이터의 검증 절차를 한번 더 갖기 때문에 더 안전하고 강력한 접근을 한다 => Size를 사용하자. Column은 중복해서 사용이 가능하므로 기타 속성(nullable)등이 필요하면, 그것만 취사선택해서 쓰면 됨
Git에서 팀레포 등록하기 & fetch하기[upstream]
그동안 깃허브에 들어가서, 내가 포크를 떠온 원격으로 가서
저번에 fetch를 쓰면 되는것 같다는건 어렴풋이 알게 됐는데
그래도 fetch가 정확히 뭔지 알고 쓰고 싶었다.
이전에도 물론 몇 번 검색을 했었는데 별 소득을 못얻었다가
우연히? 팀레포(포크를 떠오는 원본 레포지토리)를 upstream이라고 칭한다는 것을 알게 되었고, 거기에서 다시 시작을 할 수 있었다.
이걸 처리하면서 배운 점(그리고 이전의 오해를 발견한 부분)은
- 내가 내 이름의 repository에 직접적으로 소유하지 않더라도, git remote 레포지토리를 git에서 변수처럼 정할 수 있다.
- 그리고 그걸 fetch(깃 최신 내역 가져와서 내 로컬에서 조회하기)가 가능하다
- git remote [변수명] [원격레포지토리 주소.git] 의 형태로 각 git 작업 영역?[프론트프로젝트, 백엔드프로젝트 같이 분리된 git 작업 영역] 에 등록 해주는 것이 일단 필요하다
git에서 좀 더 편리하도록 사용할 변수 선언하기 : git remote [변수명] [원격레포지토리 주소.git]
- 그리고 git fetch upstream or git fetch [가져올 원격 레포지토리 주소]
내꺼 레포지토리는 일단 origin으로 등록해놨으니, 이제 내 repository내역을 굳이 업데이트 하고 싶다면 git fetch origin 으로 입력하면 된다.
git fetch upstream or git fetch [가져올 원격 레포지토리 주소]
- 그리고 나서 보니 pull을 인텔리제이에서 할 때도 이런 작성순서랑 같이 명령어를 GUI로 조작할 수 있다는 것을 발견했다.
<fetch는 그냥 가져오기 보다는 직접 가서 가져오는 take와 가까운 느낌의 동사 - 라고 한다.>
이렇게 며칠 공부하면서, 이제 커맨드로 git 관리하는 거에 좀더 익숙해지는 것에 다가가려고 하고 있다.
'TIL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21 TIL (1) | 2022.07.21 |
---|---|
20220720 TIL (0) | 2022.07.20 |
20220718 TIL (1) | 2022.07.18 |
WIL (0) | 2022.07.17 |
20220715 TIL (0) | 2022.07.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