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4

220428 TIL 플라스크 기본동작 원리이해 flask에서 이 코드의 위치가 문제가 되는 경우도 있다. if name == 'main': app.run() window.location.reload() 란 : 자바스크립트 이용해서 현재페이지 새로고침 html에 post를 통해 수집할 데이터에 대한 함수, 자바스크립트 구조를 작성해놓고 python에다가는 그 페이지로 가서 api(get이나 post) 요청이 들어오면 실행할 함수(DB조작 등)를 정의해놓음 html에서 sample_give라는 변수에 ‘샘플데이터’를 넣는 것(sample_give: 샘플데이터) → python파일에서는 sample_give변수를 받아서 활용! 그냥 넣으면 python/컴퓨터/모듈이 읽지 못하는 구나의 자세 최대한, 상세하게 컴퓨터가 1살이라는 생각으로 수행할 명령을 입력.. 2022. 4. 28.
20220427 TIL Git 특강 Push, pull의 차이점 -> pull은 변경된 사항들을 다시 내 로컬로 가져오는 것 마침 AWS에서도 파이참을 통해 간단히 push를 하는 내용이 나왔음. AWS는...주어진 코드를 따라 치고 있는데, 갑자기 많은 개념들이 들어와서 지금은 물론 따라치는 것 조차 어려움이 많지만 뭔가 전체적인 그림이 그려짐 없이 코드만 따라치는 것에 그쳐지는 것 같아서 복습이 필요할 것으로 보인다. DB도 마이크로 서비스를 따라 다 나누어지고 있다는 것이 흥미로웠고, AWS에서의 DB조작 관련 기능인 RDS에 대해서 다뤄보았다. 분명 눈뜨고부터 눈감을때까지 하고 있는데 매일 새롭게 주어지는 것을 따라가기도 버거움을 느낀다... 2022. 4. 27.
20220426 TIL CI/CD / GitHub Action GitHub Action은 간단하게는 서버에 소스를 배포하는 서비스 입니다. CI = Continuous Integration CD = Continuous Deployment [CI/CD] CI/CD란? - 지속적 통합(Continuous Integration)/지속적 배포(Continuous Deployment) 기본개념 For example, every time someone creates a release from GitHub on a specified branch then automatic commands get executed. → Github 액션이 자동으로 검사 https://medium.com/scalereal/ci-cd-with-github-acti.. 2022. 4. 26.
20220425 : TIL AWS1 버킷 : 버킷은 S3에서 파일을 저장하는 폴더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우리가 컴퓨터를 사용할 때 폴더 안에 파일을 저장하는 것처럼 S3에서도 버킷 안에 파일을 저장합니다. 버킷의 권한과 개별 파일의 권한의 관계는 개별 파일이 종속적이긴 하지만 그래도 개별설정이 가능은함. 버킷이 퍼블릭 엑세스가 막혀있으면, 개별 파일의 엑세스도 막히지만, 버킷이 열렸다고 파일도 열리는 것은 아님 AWS S3 = 파일저장소 원래는 내 컴퓨터에 저장해놓던걸, aws에 업로드 시키고, 그 파일을 활용하거나 요청을 받을 때 웹 주소 형태로 제공 Identity and Access Management 모든 리소스에 대한 엑세스 관리 설정방법 AWS 위에 검색창에 IAM 쳐서 접근 좌측 메뉴에서 엑세스관리 → 사용자 클릭 후 사용자.. 2022. 4. 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