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전체 글94

20220513 TIL 깃허브 pull request시 머지 방법 이 때 세가지 방법이 있음을 발견하게 되었는데 일단 평소에 하던 근데 정말 깃허브와 관련된 것은, 문서를 봐도 이해가 안가고 일단 저지르고나서 결과를 보고 문서를 봐야 이해가 되는것 같다... 1. Create a merge commit : 기본 옵션, 머지 할 때마다 merge했다는 게 기록으로 남음. 기록이 줄줄이 커밋내역으로 남음 2. Squash and merge : 머지 했다는 기록 안 남고, 게시글 쓰듯이 하나의 제목으로 정리하고 하나의 내역이 되며, 세부 내역은 메시지 안에서만 나옴 -> 제일 깔끔 3. Rebase and Merge : 머지 했다는 기록을 남지 않고, 거기서 작업한 효과가 남. 코드가 줄줄이 나옴. 하나의 브랜치에 커밋한것같음 ht.. 2022. 5. 13.
20220512 TIL How to contribute 리드미 파일 작성과 관련해서 찾아보다가, 자신들의 작업에 참여하는 방법을 설명해놓은 글이 있었다. 아직도 git이 버겁지만, 조금 더 괜찮아진다면 참여해보면 좋을것같다. 이런식으로 Amazing한 Feature를 만들고 Pull Request가 받아들여진다면 뿌듯함도 느낄 수 있을 것 같다. Contributing Contributions are what make the open source community such an amazing place to learn, inspire, and create. Any contributions you make are greatly appreciated. If you have a suggestion that would make thi.. 2022. 5. 12.
20220511 TIL Pymongo 사용시 인자를 2개 이상 받아오는 방법 - 많은 게시물들에서 {key:value}를 넣으면 된다고 하지만, 왜인지 작동을 안했는데 그래도 검색끝에 찾을 수 있었다. .sort([("field1", pymongo.ASCENDING), ("field2", pymongo.DESCENDING)]) 기본적으로는 .sort("key", ASC/DESC )정보를 넣어주면 작동한다. 처음에는 간단히 값만 바꾸려고, 튜플이나 딕셔너리 형으로도 넣어보려고 시도도 해봤으나, 위의 방법으로 하면 잘 작동이 된다. https://codesample-factory.tistory.com/219 리스트에 담긴 딕셔너리 정렬 key 속성 이용, lamba 함수 이용하는 방법도 있었지만, 새로운 라이브러리이기도 하고, 좀.. 2022. 5. 11.
220510 TIL git 처리 순서 1. 작업하던 feature에 커밋하기! 2. git checkout dev 로 dev 이동 3. git merge feature/~ 4. git push -u origin dev 5. github에 가서 pull request 요청 ------------- 6. pull request 받아들여진 후, github에서 fetch/upstream 실행 7. main으로 가서 git pull origin main 8. dev에 가서 git merge main git 사용시 유의사항 - git rm은 파일을 삭제시키니 주의한다. - 원격 저장소에서 pull하기 전에, 내가 작업한 내용이 있으면 commit을 해두어야 안전하다. 태그 내의 문자열 가져와서 사용하기 전체 TIL 깃을 많이 사용했.. 2022. 5. 1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