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inja2로 css링크하기
기존에는
<link href=”style.css” rel=”stylesheet”>
jinja2 방식
- static 폴더 안에 mystyle.css에 해당하는 url을 만들어줘
<link href=”{{url_for(”static”, filename=”mystyle.css”)}}” rel=”stylesheet”>
파이참에서 venv 설정 안하고 시작했을 때 만드는 방법
설정 -> python interpreter -> + -> +
이렇게 하면 CLI 사용 없이 간단하게 만들 수 있음
크롤링과 웹스크래핑
두 용어가 혼용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크롤링은 자동화의 개념을 좀 더 포함하고 있음,
일반적으로 페이지에서 정보를 긁어오는 것은 웹스크래핑이라고 함
크롤링은 자동화하여 주기적으로 웹 상에서 페이지들을 돌아다니며 분류/색인하고 업데이트된 부분을 찾는 등의 일을 하는 것을 뜻해요.
html에 link 걸 때
- CSS 파일 link시에 rel=stylesheet를 안 써주면 제대로 연결이 안됨
- 그동안 부트스트랩이나 외부 라이브러리 html에 포함하면서, 이걸 써야 작동이 된다 라는 개념으로 무작정 가져왔는데, import를 한다는 개념으로 이해하게 됨.
데이터 전달과 활용
----
OS
인간이 기계와 소통해 줄 수 있게하는 기반 프로그램
(휴대폰이라는 기계, 컴퓨터라는 기계, TV라는 기계)
이러한 OS에 명령을 내리는 것이 코딩(컴퓨터를 1시간 있다가 꺼라)
이걸 어떤말로 할거냐? → 프로그래밍 언어
영어로 할 거냐, 이탈리아어로 할 거냐?
→ 즉 어떤 말로든 명령만 내리면 됨
→ php, python, java
이걸 미리 짜둬서 매번 똑같이 움직이는 게 ‘프로그램’
딸깍 누르면 ppt 파일을 읽어서 보여줘
→ 코딩은 프로그램을 만드는 것 ⇒ 그래서 프로그래밍이라고 함
컴퓨터끼리 대화를 주고 받고 싶으면? 인터넷 통해서
→근데 대화를 주고 받으려니 규칙이 필요
→ 그러한 규칙중 하나가 웹 http
말하는 순서를 가지고 있음
API란 창구이자 약속
- 은행과 미리 약속해둔 곳(예금창구)
- 약속해둔 데이터(신분증)를 들고가야
- 잔고를 알려줌(응답)
API가 생긴 모습
- 서버위치/API주소/가져가기로한데이터
- 우리은행용산지점/입출금창구/주민등록번호
- https://movie.naver.com/ movie/vi/mi/basic.naver ? code=12345
언어와 프레임워크
- 언어에는 좋고 나쁨이 있다기보다는 특성이 있음
- 프레임워크 : 미리 만들어놓은 블록세트
'TIL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20506 TIL (0) | 2022.05.06 |
---|---|
220504 TIL (1) | 2022.05.04 |
TIL 220502 (0) | 2022.05.02 |
WIL 2회차 (1) | 2022.04.29 |
20220429 : TIL, AWS 탄력적 IP, 보안그룹, 플라스크 디버그 모드 (0) | 2022.04.2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