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TIL WIL

TIL 20220706

by Youngin 2022. 7. 6.

javadoc 

- 계속 인코딩에러 뜨고, 파일도 많이 생성되서.. 어떻게 하지 싶었는데 요런 방법이 있었다....

현재파일위치> javadoc -encoding utf-8 -d [doc생성할위치절대경로] SupportController.java
현재파일위치> javadoc -encoding utf-8 -d C:\Users\young\IdeaProjects\support\Docs
\Support\SupportController SupportController.java

 

-------------------------------------------

https://www.devkuma.com/docs/javadoc/-d-%EC%98%B5%EC%85%98/

-d 옵션은 생성 된 문서의 대상 디렉토리를 지정한다. 디렉토리는 상대 경로 또는 절대 경로로 지정한다.

사용법은 다음과 같다.

$ javadoc -d {출력하는 디렉토리 혹은 대상 파일}

예를 들면 다음과 같이 실행한다.

$ javadoc -d doc Sample.java
$ javadoc -d sample/doc Sample.java
$ javadoc -d /Users/devkuma/javadoc/doc Sample.java

1번째와 2번째는 상대 경로로 지정하였다.

1번째는 “javadoc"명령을 실행한 디렉토리에 “doc"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저장한다.

2번째는 “sample\doc"이란 디렉토리를 만들고 그 안에 저장한다.

3번째는 절대 경로로 지정한다. “/Users/devkuma/javadoc/doc"이란 디렉토리에 저장한다.

 

 

 



네이밍 컨벤션의 종류

카멜과 스네이프만 알았지

케밥은 뭔가 이름이 귀엽고, 헝가리안은 예전에 당황스럽게 했었지만..

암튼 새로 알아두면 좋겠지

스네이크 케이스

html class 명으로 주로 사용된다

단어 사이를 띄어쓰기 대신 언더바( _ )로 연결하여 쓰는 방식이다

언더바가 뱀을 연상시켜 "스네이크 표기법"라고 불린다

ex) snake_case

케밥 케이스

html class 명으로 주로 사용된다

단어 사이를 띄어쓰기 대신 하이픈( - )으로 연결하여 쓰는 방식이다

하이픈이 고기를 꼬치에 끼운 케밥같아서 "케밥 표기법"라고 불린다

ex) kebab-case

카멜 케이스

html id 명으로 주로 사용된다

+ JS의 함수 명명

단어 사이를 띄어쓰기 대신 대문자로 표기하는 방식이다

낙타의 등과 같아 "단봉낙타 표기법"이라고 불린다

ex) camelCase

파스칼 케이스

+ JS의 객체 명명

단어의 시작을 모두 대문자로 표시한다

프로그래밍 언어 파스칼에서부터 쓰이며 "파스칼 표기법"이라고 한다

ex) PascalCase

헝가리언 표기법

단어의 접두어를 사용하며 표기한다

ex) strName (string -> str)
     bBusy (boolean -> b)

출처: https://snupi.tistory.com/96 [SNUPI:티스토리]



구현해야 하는 기능에 Spring와 JWT 관련 지식이 필요하지만

여지껏 지식이 전무한 나는...

다시금 심화반 강의를 살펴보기 시작했는데

오 뭔가 여러가지 의미에서 새롭다

 

일단...강의를 들었다는 기억자체는 나지만 강의 내용은 기억이 나지 않아 거의 처음 배우는 것같은데

뭔가 전보다는 0.1%라도 이해가 되면서 강의를 보는 느낌

어쨌든 내 코드와 다른 사람들 코드를 자주 보다보니 좀 더 눈에 익은게 있어서 인것 같다는 생각이 든다.

아 물론.. 아직 노답상태라... 갈길은 많이 멀다.

 

지금도 이러고 있는데,

다른거 깨작거리다가 나중에 혼자 자바나 스프링을 하게 되었을 생각을 하게되면 끔찍하다

암튼 이렇게라도 발 담글 수 있음에 감사 -> 자바를 너무 싫어했었고, 지금도 많이 두렵지만 이렇게 감사한 마음이 들다니... 0ㅁ0

 

요즘 새로운 튜터님들이 속속 등장하고 계신데....

질문이라는 것도 무언가 알아야 할 수 있는 것이어서

열심히 줘도 못먹는 나의 모습이 안타깝다.

 

항상 꺼지지 않는 불꽃처럼 열심히 열정적으로 하는 팀원들이 있어서

그나마 이렇게라도 끝에 붙어서 따라갈 수 있음에도 감사하다

'TIL WIL' 카테고리의 다른 글

20220708 TIL  (0) 2022.07.08
TIL 20220707; API 설계를 한다는 것의 의미, 콘솔 한글깨짐 해결  (0) 2022.07.07
TIL  (0) 2022.07.05
TILL  (0) 2022.07.04
WIL  (0) 2022.07.04